초간본 『杜詩諺解』에서의 색채어번역 연구
2017-10-20金红梅青岛滨海学院
| 金红梅| 青岛滨海学院|
1.서론
본 연구는 원문 두시(杜诗)에 나오는 색채어와 그 색채어에 대응되는 초간본 『杜詩諺解(1481년 )』에서의 번역양상을 살펴봄으로써 색채어의 번역방법에 대해 고찰해보고자 한다.
초간본 『杜詩諺解』는 최초로 두보의 시를외국어로 번역한 문헌으로 그 번역양상에 대한 선행연구로는 이종묵(1998),이의강(2000),조남호( 2001)를 들 수 있다.
이의강( 2000) 은 초간본 『杜詩諺解』의 번역오류에 대해 그 원인을 분석하였으며,이종묵(1998)은 번역방법에 대하여 축자역을 위주로 하면서 의역과 보충역을 곁들여 번역한 것이라고 지적하였다.조남호(2001)는 한자어에대한 번역양상을 ‘일 체형 ’,‘대 체형 ’, ‘병 립형’으로 분류하고 ,역자들의 번역태도에 대하여원문을 충실하게 언해에 반영하면서도 최대한문맥에 맞게 언해하려고 노력하였으며,시적인 맛을 살리고 ,고유어를 사용하려는 노력도두드러졌다고 지적하였다.
이상의 선행연구를 살펴보면 『杜詩諺解』에대한 번역연구는 번역오류에 대한 원인분석이주된 연구가 되었으며 번역자들의 번역태도및 번역양상 등에 대해서는 일괄적으로 언급하였고 구체적인 어휘를 대상으로 유형별로그 번역양상을 분석하고 번역방법을 논의한연구는 확인되지 않는다.
그러나 『杜诗谚解』를 살펴보면 번역자들이개개의 어휘를 선택함에 있어서 들인 고심한노력을 엿볼 수 있으며 ,번역자들의 번역태도및 번역양상 또한 어휘 유형별 차이를 보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유형별 어휘의 번역에 대하여 더욱 구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필요성을 제기한다.
따라서 본고는 두시 원문에 나오는 색채어와 관련된 어휘에 대하여 『杜诗谚解』에서의번역양상을 살펴보고 그 번역방법을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는 『杜詩諺解』의 어휘유형별 번역양상 및 번역방법을 연구하는 일환으로 볼 수 있으며 ,더 나아가 색채어의 통시적인 연구를 위한 필요한 기초를 마련할 수있다고 본다.
2.두시에서의 색채어의 유형
유협의 『문심조룡』「情采」편에서는 문체를세우는 도리로 五色, 五音 ,五性이 있다고 지적하였다. 여기서 언급한 五色이 바로 ‘赤,靑,黃 , 黑 ,白 ’계열의 색채어를 가리킨다 .두시에서 시인은 풍부한 색채어를 통해 형체의 아름다움을 그려냄과 동시에 한정된 시어로 함축된 의미를 효과적이고 경제적으로 독자들에게 전달하고자 하였다.
색채어의 출현빈도에 대해서는 张余乐(2011)의 통계를 따르면 다음과 같다.
<표 1>두시에 나오는 색채어 출현빈도
张余乐( 2011)에서 언급한 기본 색채어 외에도 두시에서는 白色을 표현하는 ‘皎, 粉,皓 , 鶴 , 華 ,霜’,赤色을 표현하는 ‘緋 , 彤,絳 ,殷’,黑色을 표현하는 ‘黎, 皂, 黔, 緇,鬒’,靑色을 표현하는 ‘縹, 蔚, 蔥 ’등을 더확인할 수 있다.
두시에 출현한 색채어는 그 결합양상에 따라 단일어와 복합어로 나눌 수 있다.(1)
2.1 단일어
두시에서 색채어가 단일형태로 쓰일 때는형용사 , 명사 , 동사 ,부사로 그 하위유형을 분류할 수 있다.
● 형용사
색채어의 기본의미는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는 것이므로 ,그 품사는 주로 형용사로 쓰인다 .품사가 형용사인 경우 ,색채어는 시구에서 서술어의 기능을 담당하거나 명사를 수식해주는 기능을 한다.
“萋萋露草碧, 片片晚旗紅”,“石門霜露白,玉殿莓苔靑”은 ‘碧, 紅, 白, 靑’이 시구의 끝에 나타나면서 서술어의 기능을 담당하는 용례이다.“赤眉猶世亂,靑眼只途窮”에서의 ‘赤眉’,‘靑眼’은 색채어가 명사를 수식하는 용례이며,시어의 함축적인 특성으로 말미암아 색채어와 명사가 어우러져 함축적인 의미를 나타낸다.즉원문에서 ‘赤眉’라 함은 ‘붉은 눈썹’이라는 뜻이 아닌 ‘반 란군’을 일컫는 말이기 때문에 색채어를 분리하여 언급하는 것은 타당하지 않다고 본다 .따라서 논의 전개의 필요상 색채어가 명사를 수식하는 경우는 새로운 복합구성을 이루는 것으로 보아 복합어를 논하는 절에서 언급하기로 한다.
● 명사
두시에서 명사로 쓰인 색채어는 대부분 시구의 첫머리에 나타나며 ,색채어로 주체를 대체함으로써 시어의 경제성과 함축성 및 시각적인 미를 부여하였다 .두시에서 색채어가 명사로 쓰인 용례는 “青 惜峰巒過 ,黃知橘柚來”,“綠沾泥滓盡 ,香與歲時闌 ”,“紫收岷嶺芋 ,白種陸池蓮 ”등이 있다 .시구의 첫머리는 아니더라도 명사로 쓰인 용례는 “稀踈小紅翠,駐屐近微香 ”,“不 忍殺無辜 ,所以分黑白”을 들 수있다.
● 동사
두시에서 색채어가 동사로 쓰인 경우는 드물게 확인되며 ,시구에서는 동사로 쓰이면서시어의 경제성 효과를 나타낼 뿐만 아니라 정적인 표현으로 동적인 뜻을 나타냄으로써 시구의 생동감을 그려냈다.“傾 壺簫管黑白髮”,“指麾赤白日” ,“三寸黃甘猶自靑”,“霜黃碧梧白鶴棲 ”,“黃 落驚山樹 ”,“鬢 毛元自白 ”등의 시구에 나오는 ‘黑 , 赤, 青, 黃, 黃, 白’등의 색채어를그예로들수있다.
● 부사
두시에서 색채어가 부사로 사용된 용례는아주 적은 바 ,이는 색채어가 사물의 상태를나타내기보다는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어 부사어의 자격으로 서술어를 수식하는 경우가 드물 뿐더러 어휘의 경제성과 함축성을 고려하였을 때 시가에서는 서술어에 부사어를 첨가하는 경우가 드물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草牙既青出” ,“蕭 蕭白映梳”에서 ‘靑,白’등은부사로 사용된 예이다.
2.2 복합어
색채어는 두시에서 시각적인 효과를 나타낼뿐만 아니라 운율적인 아름다움이나 함축적인의미 등을 표현하면서 다른 어휘와 결합하여복합어를 이루는 경우가 많으며 ,그 결합양상또한 다양하다 .그 결합양상은 대체로 ‘색채어 +명 사 ’,‘색채어+ 형 용사’ ,‘형 용사+ 색 채어’로나눌수있다.(2)
● 색채어+명사
색채어는 사물의 성질을 나타내므로 두시에서는 주로 명사를 수식해주는 역할을 한다.특히 색채어가 갖는 상징적인 의미로 말미암아 ‘색채어 +명사’의 구성을 통해 시어의 함축성과 경제성을 잘 발휘하였다 .황제가 거처하는 집을 ‘黄屋’,‘紫宸’으 로 , 반란군을 ‘赤眉,黃巾’으 로 , 사람에 대한 태도를 ‘靑眼’,‘白眼’으로 표현하는 등이 그 예이다 .색채어를 기본 5색 계열로 나누어 일부 예들을 옮겨오면다음과 같다.
白色: 白日, 白髮, 白鱼, 白眼, 素月……黄色: 黄沙, 黄鹂, 黄卷, 黄屋, 黄口……靑色:靑眼, 靑袍 , 翠柏, 綠葵, 苍苔……赤色: 丹心, 丹枫, 红颜, 绛节, 紫宸……黑色: 黑米, 玄蝉, 黎首, 皂雕, 乌麻……
● 색채어+형용사
두시에서는 색채어가 형용사와 결합하면서운율적인 아름다움이나 형체의 아름다움 혹은강조의 뜻을 잘 표현하였다 .‘색 채어 +형 용사’에는 동일 색채어 중첩 (AA형 )이나 두 개의서로 다른 색채어가 결합되는 것 (AB 형 ),그리고 색채어에 중첩형의 형용사가 결합되는것 (ACC 형)이 확인된다 .AA 형에는 ‘白白, 苍苍 ,青青 ’등이 있고 ,AB형 에는 ‘绿缥’등이있으며 ,ACC형 에는 ‘白皑皑 ,白浩浩 ,白纷纷’등이 있다.
● 형용사+색채어
두시에서는 색채어의 앞에 일부 형용사를첨가하여 색채의 짙고 옅음의 정도를 표현하면서 ‘형용사 +색채어’의 구성을 이루는 것을확인할 수 있다.‘轻 红, 新红, 殷红 , 凝碧,重碧 , 苍翠 , 旧翠 ,蔚蓝 ’등이 그 예이다.
3.『杜詩諺解』에서의 색채어 번역
초간본 『杜詩諺解』에서는 역자가 직역을 하면서 고유어 어휘를 선호했다는 것은 선행연구에서 이미 확인한 바 있다 .특히 색채어는인간의 시각에 의해서 인지되는 일차적인 감각을 표현한 것으로 평가형용사와 같은 어휘와 비교해 볼 때 고유어가 비교적 발달되었으므로 초간본 『杜詩諺解』에서 색채어에 대한번역은 주로 고유어를 사용하여 직역하였다.그러나 상황에 따라 한자를 그대로 옮겨오거나 의역 혹은 보충역을 하는 경우도 확인된다.
3.1 단일어 번역
● 형용사
색채어가 원문에서 단독형 형용사로 쓰일때 대부분 시구의 끝에 붙어 서술어의 기능을한다 .이 경우 역자는 색채어를 모두 고유어형용사로 직역하였다.
● 명사
색채어가 원문에서 명사로 쓰인 경우는 한시의 경제성 등 차원에서 색채어가 주체를 대체하였기 때문에 원문의 색채어를 형용사로번역하는 동시에 의존명사나 주체를 추가하여한국어의 구문 특징에 맞게 의역을 하였다.
원문에 나오는 색채어가 명사인 것에 한하여(3),(4)에 서는 ‘프 르- +-ㄴ+것 ’, ‘프르-+-ㄴ+이’의 형태로 의존명사 ‘것, 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번역하였으며 ,(5)에서는 동명사형 어미 ‘- ’을 사용하여 ‘거 므며 다’를 명사형으로 바꾸었다 .(6)은 원문의 ‘小红翠’를 ‘져 근 블근 곳과 프른 닙 서리예’로 번역하여 색채어에 의해 대체된 주체 ‘곳 , 닢’을추가하였다.
● 동사
두시에서 색채어가 동사로 쓰인 경우는 역문에서는 그대로 동사로 번역하거나 품사를형용사로 전환하여 번역하였다.
(7)에서는 원문에 동사로 쓰인 색채어를 동사로 번역하였음을 현재시제 선어말어미 ‘--’를 통해서 확인된다 .(8)에서는 동사로쓰인 색채어 ‘黄’에 대해 ‘누를다’를 사용하였다 .‘누 를 -’은 두시의 원문과 대조해 볼 때‘누렇게 되다 ’따위의 뜻을 나타내며 동사적용법으로 쓰인 것을 알 수 있다 .(9)에서는원문에서 동사로 쓰인 ‘黄’에 대하여 형용사‘누 르- ’에 사동을 나타내는 보조용언 ‘-게 다’를 첨가하여 원문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였다 . 그러나 (10)과 같은 경우는 원문에서동사로 쓰인 ‘白’,‘靑’에 대하여 역문에서는‘白’은 동사로 번역하였고,‘靑’은 형용사로 번역하였다고 볼 수 있다 .이는 역자가 시적인느낌을 위해 감탄어미 ‘-도 -’를 덧붙이고 ,원문의 ‘來’를 번역하지 않음으로 하여 원문에서‘靑’이 갖는 동사적 의미가 역문에서는 두드러지지 않게 된 것이 아닌가 사료된다.이러한현상은 색채어가 통사론 중심인 중국어에서형태론적인 변화가 없이 동사 혹은 형용사로쓰이므로 형태론적인 비중이 높은 한국어로전환할 때 원문에 대한 역자의 이해에 따라품사 전이가 발생한 것이라고 본다.
● 부사
두시의 원문에서 부사로 쓰인 색채어는 『杜诗谚解』에서도 그대로 부사로 번역하였다.
(12)蕭蕭白映梳( 蕭蕭히 비세 하야히 비취옛더라―「 杜初 20」,045b)
(11) 의 ‘青’은 ‘퍼 러히’에 대응되고 (12)의‘白’은 ‘하 야히’에 대응되면서 직역을 했음을확인할 수 있다.
3.2 복합어 번역
● 색채어+명사
두시에서 ‘색채어+ 명사’의 구조는 표면적인아름다움뿐만 아니라 색채어가 갖는 상징적의미나 제유 ,환유 등의 수사법을 통해 함축적인 의미도 함께 표현하였다.
‘색채어 +명사’의 복합구조에 대해 역자는보편적으로 고유어로 직역하였다 .단 어휘에따라서 한자를 그대로 옮겨온 경우도 있다.
(13)은 원문의 색채어를 고유어로 직역한경우이다 .(14)에 서 보이는 ‘黃金’은 한자를그대로 옮겨온 경우이며 『杜詩諺解』에서뿐만아니라 15세 기에 타 문헌에서도 널리 쓰였다.이는 ‘黃金’이라는 어휘가 이미 고유어처럼 쓰였음을 보여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杜詩諺解』에서는 ‘색채어 +명사’의 구성을 이루는 복합어에 대해 대구나 시적인 리듬을 위해서 원문의 한자를 그대로 옮겨오는경우가 있다.
(15) 에서 ‘白雪’은 원문의 한자를 그대로역문에 옮겼다 . 그러나 (15)를 제외한 다른시구에 나오는 ‘白雪’은 모두 고유어눈’으로 번역되었다 .이는 고유명사 ‘滄江’과 대구를 이루기 위해 역자는 ‘白雪’을 한자 그대로 옮긴 것으로 보인다 .또한 초간본 『杜詩諺解』 원문에 나오는 ‘丹楓’은 대부분 고유어‘블근 싣 /블근 싣남기’로 번역되었으나,(16)에서만 ‘丹 楓ㅅ닢’으 로 번역되었다 .(16)의 원문에서 ‘丹楓’은 단풍나무의 붉은 잎을 가리키는 것이므로 역자는 고유어 ‘블근 싣남긔 니피 ’혹은 한자를 그대로 옮겨 ‘丹 楓이’로 번역할 수 있으나 의미를 정확히 전달하고 시적인리듬을 살리고자 ‘丹楓ㅅ니피’로 번역한 것으로 보인다.
수사법이 적용된 원문에 대해 역자는 가능한 원문의 어휘를 그대로 직역하면서 두시학습자가 그 함축된 의미를 이해할 수 있도록보완하여 번역하는 방법을 선택하였다.
(17) 에서 ‘赤眉’는 제유에 의해 도적을 나타내며 이는 중국역사에 나오는 ‘赤 眉軍’에서유래된 것이다 .(18)에 서 ‘黔首’또한 중국 당시 서민들이 머리에 검은 두건을 썼으므로 제유에 의해 백성을 나타냈다 .역자는 직역에의역을 곁들이는 방법을 취하여 ‘赤眉’를 ‘눈섭 블근 盜賊 ’으 로 ,‘黔 首 ’를 ‘거 믄 머릿 百姓’으로 번역하였다 .이런 번역은 중국역사 ,중국인 생활습관을 잘 모르는 사람일지라도 그원문의 의미를 잘 파악할 수 있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블근 눈서비 오히려 世예 어즈러우니’처럼 직역을 했을 때 발생하는 시구의부자연스러움을 피하고 보다 자연스럽게 표현하였다.
(19) 와 (20)에서 도적과 도사의 신분을 나타내는 ‘黃巾 ’과 ‘黃冠’은 제유법을 사용한 예이다 .역자는 이를 모두 ‘누 른 곳갈’로 직역하면서 주석을 덧붙여 ‘黃 巾 ’은 도적을 ,‘黃 冠’은도사의 관 (冠)임을 설명하여 학습자들로 하여금 ‘누 른 곳갈’이 표현하고자 하는 서로 다른함축적인 의미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이와 같이 수사법을 통해 함축적인 의미를표현한 ‘색채어 +명사 ’ 구성의 번역과 역사,문화 ,생활습관 등의 차이로 인해 두시 학습자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에 대해서는 직역에 의역을 곁들이거나 주석을 덧붙이는 방법을 취하여 이해를 돕고 직역으로 인한 시구의 부자연스러움을 보완하였다.
‘색채어 +명사’에서는 위의 번역양상 외에도원문의 색채어를 생략하는 경우가 확인되는데이러한 용례는 극히 한정적이다 .이는 역자가대구를 이루기 위해 생략한 것으로 보인다.
(2 1)에 서는 ‘黄 鸟 ’를 ‘곳 고리’로, ‘白 鸥’를 ‘며기’로 번역하여 대구를 위해 의도적으로 원문의 ‘白’자 를 생략한 것으로 볼 수 있다.
● 색채어+형용사
‘색 채어+ 형용사’는 ‘AA 형’ ,‘AB 형’ ,‘ACC 형’으로 나누어 그 번역양상을 살펴 볼 수 있다.
‘AA 형’ 색채어는 (22)에서처럼 모두 단일형의 색채어로 번역하였다 .따라서 중첩형 색채어에 대한 번역은 두시에서의 운율적 아름다움이나 형체의 아름다움 혹은 강조의 뜻은전달되지 않고 그 기본의미에만 충실하였음을알 수 있다 .15세기의 현존 문헌에서 색채어형용사의 AA중첩형이 확인되지 않으므로 이는 중세한국어 색채어 형용사의 AA중첩형 어휘의 공백에 따른 번역결과인 것으로 사료된다.
‘ACC 형’은 원문에 대한 역자의 이해에 따라 그 번역양상이 차이를 보인다.(24)의 ‘白浩浩’는 동사 ‘오다’를 추가하여 ‘허여히 해오놋다’로 의역을 하였다 .(25)의 ‘白纷纷’은‘하야하야 어즈럽도다’로 번역하였는데,‘紛紛蘿薛ㅅ 그르메라’라고 한 주석을 참고하면역자는 원문의 ‘白’은 ‘涼月’을,‘纷纷’은 ‘萝薜’을 묘사하는 것으로 이해하였으며 원문의 ‘白纷纷’에 대하여 구조적인 변화를 통하여 번역하였음을 알 수 있다 . 따라서 (25)와 같은 번역은 특이한 경우이며, ‘ACC 형’에서의 색채어는 (24)에서처럼 부사로 번역하는 경우가 보편적이다.
● 형용사+색채어
‘형용사+ 색채어’에서 형용사는 색채어의 채도나 명도를 나타낸다 .그러나 색채어를 수식하는 형용사에 대해서는 번역문에서 그 의미가 잘 전달되지 않았거나 생략되었다.
(26) 은 원문에서 ‘重’, ‘轻’은 ‘碧’, ‘红’을 수식하며 색의 짙고 옅음을 나타냈다 .번역문에서는 연결어미 ‘-고 ’를 추가하여 ‘므겁고니란’ ,역하였다.이를 원문의 의미대로 풀이하기에는 중세한국어에서는 생소한 통사적 구성이며, ‘무 겁고’와’를 색채어를 수식하는 것이 아닌‘술’과 ‘荔枝’를 수식하는 것으로 볼 수밖에없게 된다 .이는 시구를 정확하게 이해하지못한 번역이라고 볼 수 있다 .(27)과 (28)에서 보면 원문은 정연하게 대구를 이루지만 역문에서는 대구를 이루지 못한다 .(27)에서 원문을 ‘댓 거프른 치위예 녜 프르고 椒木ㅅ 여르믄 비예 새려 블것도다’로 번역하면 정연한대구를 이룰 수 있었으나 역자가 그렇게 번역하지 않은 원인 또한 원문을 정확히 이해하지못한 데 있다고 볼 수 있다 .(28)에서는 원문의 ‘殷红’과 ‘凝碧’이 대구를 이룸에도 불구하고 색채의 짙음을 표현하는 ‘殷’은 생략하였고,‘凝’자를 동사 ‘얼 의다’로 번역하였다 .이는 ‘凝’에 대한 색채의 짙음을 나타낸다는 의미를 역자가 이해하지 못하여 생긴 오역으로볼수있다.
따라서 ‘형용사 +색채어’에 대한 번역은 그통합구성이 일관성이 없으며 원문의 의미를정확히 전달하지 못하였음을 발견할 수 있다.이러한 번역양상을 초래한 직접적인 원인은중국에서 색채어의 채도나 명도를 한정해주는형용사의 확장된 의미에 대해 의고적인 자석서를 통해서는 확인하기 어려워 의미의 공백이 발생하였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이러한의미의 공백은 다시 색상의 옅고 짙음을 더욱세분화 하는 ‘형용사 +색채어 ’구성의 복합색채어가 중세한국어에서는 그 발달이 미비하였음을 시사해준다.
4.결론
『杜詩諺解』는 국가적 차원에서 번역된 저서로 의역보다는 직역을 통해 두시를 학습하는식자층에게 학술적 토대를 마련하고자 하였다.색채어의 번역에 있어서도 대부분은 고유어로직역을 하였으며 상황에 따라 의역,보충역,생략 ,한자를 그대로 옮기는 등의 방식을 취하였다.
번역에서 주로 색채어가 명사일 때와 ‘형용사 +색 채어’의 복합구성을 이룰 때 의역을 취하였다 .색채어가 명사일 때는 원문에서 색채어가 주체를 대체하였으므로 한국어 구문형식을 맞추기 위해 주체를 추가하는 방식으로 의역을 하였다 .‘형 용사 +색 채어’에서는 색채어를 한정해주는 형용사의 정확한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여 그 통합구성이 일관성이 없으며원문의 뜻을 정확히 전달하지 못하였다.
보충역은 ‘색채어 +명사’의 구성이 나타내는함축적 의미를 전달하기 위하여 직역에 의역을 곁들이거나 주석을 덧붙이는 방법으로 역사 , 문화 ,생활습관 등의 차이에서 비롯한 난해한 의미를 학습자들로 하여금 쉽게 이해할수 있도록 하였다.
한자를 그대로 옮겨 번역한 경우는 ‘형용사+명 사’의 구성에서 극히 드물게 확인된다 .이는 개별 어휘가 당시 학습자들에게 고유어처럼 느껴져서 한자를 그대로 적용하였거나,생경하지 않다고 판단되는 어휘를 대구나 시적인 리듬을 위해 한자를 그대로 옮겨온 것으로보인다.
두시언해의 번역목적이 두시학습을 위한 것인 만큼 시어를 생략하여 번역한 경우는 극히드물다 .생략은 주로 ‘색 채어 +형 용사’의 ‘AA형’에서 나타난다 .‘AA형 ’을 중첩형이 아닌단일형태의 색채어로 번역한 것은 당시 ‘AA형’색채어가 공백이었기 때문인 것으로 추정된다.
주석
(1)색채어 한자는 지명 ,사람 이름 , 관직명 ,부족명 ,책이나 곡의 이름을 나타내는 고유명사에도 나타나는데 이 경우 색채어 한자는이미 색채어라는 의미가 사라진 것으로 볼수 있으므로 본 논의에서는 제외하였다.단,고유명사는 한자를 그대로 옮기는 번역방법임을 밝혀둔다.
(2)색채어에는 ‘색채어 +접미사’와 같은 결합양상이 확인되지만 그 용례가 ‘蒼然’에만 한정되고 출현빈도 또한 3차에 그치므로 연구범위에서 제외하였다.
참고문헌
[1]고영근,『표준 중세국어문법론』, 서울 :집문당,2010,2013.
[2]왕분,「 <杜 詩諺解> 의 虛辭 번역양상에 대한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5.
[3]이의강,「두시언해와 찬주분류 두시에 대한교감학적 탐색」,『한국시가연구 6』,한국시가학회,2000.
[4]이종묵,「 杜詩의 언해 양상」,『두시와 두시언해 연구』, 서울: 태학사,1998.
[5]조남호,『두시언해 한자어 연구』 , 서울 :태학사,2001.
[6]刘勰,『文心雕龙』,上海 :上海古籍出版社,2008.
[7] 萧涤非等, 『杜甫全集校注』,北京 :人民文学出版社,2014.
[8]张余乐,「杜诗中颜色词语义的文化认知」,『中国报业』 文史论坛版,2011.
[9]王巍,「浅析格律诗中名词与形容词的活用」,『现代语文』 语言研究版,2013.
[10]于年湖,「杜诗颜色词的运用艺术」,『广西社会科学』 语言学版,2005.
[11]J.C.卡 特福德, 『翻译的语言学理论』,穆雷译.北京 :旅游教育出版社,199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