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下载

남성과 여성 화자의 완곡 표현 사용 양상분석 연구

2017-10-20日山聊城大学

韩国语教学与研究 2017年2期
关键词:聊城大学

|金日山| 聊城大学|

1.서론

의사소통이란 화자가 발화 시 자기가 원하는 정보를 유창하고 정확하게 전달하는 동시에 자기 의도나 감정도 충분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 있어서 의사소통 능력은 문법적 능력뿐만 아니라 그 언어 속에 있는 사회 문화까지 이해할 수 있는화용 능력도 포함된다.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에서 많은 어휘나문법을 파악하는 것보다 한국의 문화를 바탕으로 한국인과 자연스럽게 의사소통하는 것이더 중요하다 .이 부분은 상당히 어려운 부분으로 보이며 특히 한국인들이 일상생활에서많이 사용하는 완곡 표현이 더욱 그러하다.완곡 표현은 인간이 사회생활을 하는 언어행위로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불쾌한 표현 대신 완곡 표현으로 뜻하지 않거나 기분 나쁜일을 피하고 상대방의 감정도 상하지 않게 하며 황당한 일을 피면할 수도 있다 .그러나 이러한 완곡 표현의 사용 양상이 남성 화자 집단과 여성 화자 집단에서 같은 것은 아니며,화자 집단 사이에 선호하는 완곡 표현 양상이분명 존재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청주대학교 한국어교육센터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화자 56명을 대상으로 ,2016년 3월 한 달간의 시간을 이용하여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완곡 표현 목록으로 대화문을 만들어 보게 했다 .이 실험을 통해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의 완곡 표현 사용양상에 대한 차이점을 분석하고자 한다.

2.완곡 표현의 정의와 유형 및목록

2.1 완곡 표현의 정의

완곡 표현은 세계 여러 언어에 보편적으로존재하고 있는 언어 현상으로 직접적으로 표현할 수 없거나 다른 사람의 기분을 상하게할 수 있는 경우에 사용된다.

기존 연구에서 완곡 표현에 대한 정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문금현 (1999)은 직접적인 표현을 피하고대신 간접적으로 완곡하게 표현할 때 쓰이는관용 표현에 해당된다고 하면서 두려움이나공포의 대상이 되는 것을 돌려서 표현한 경우 ,상대방에게 불쾌감을 주는 내용을 돌려서표현한 경우 ,추하고 더러운 것을 돌려서 표현한 경우를 완곡 표현으로 보았다.

김미형 (2000)은 어휘범주나 문법범주로 보나 듣기에 불편하거나 불쾌감을 주거나 충격을 주는 등 좋지 않게 들리는 것들에 대해 부정적인 어감을 완화시키는 표현이라고 하였다.

조미경 (2005)은 의사소통 당사자가 느끼는부담 , 불쾌 ,긴장감 등을 줄이기 위해 직접적으로 말하지 않고 간접적으로 돌려서 말하는표현이라고 하였다.

곽단양 (2006)은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에상대의 감정을 상하지 않도록 부드럽게 돌려말하는 것으로 듣기에 불편하거나 불쾌감을주거나 충격을 주는 등 좋지 않게 들리는 것들에 대해 부정적인 어감을 완화시키는 표현으로 정의하였다.

리우시아오쉬엔 (2012)은 완곡 표현의 문법적 측면에 중심을 두고 완곡 표현이란 화자가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청자의 감정을 상하게 하지 않음을 목적으로 딱딱하거나 직접적인 표현들을 우회적으로 부드럽게표현하는 것이라고 하였다.

이상의 정의를 보면 완곡 표현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돌려서 말하거나 직접적이지않은 것을 ‘완 곡’으로 정의하고 우회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완 곡 표현’이 라 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완곡 표현이란 화자가 의사소통이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 청자의 감정을상하게 하지 않는 것을 목적으로 직접적인 표현이 아니고 기분 좋게 들리도록 더욱 부드럽게 표현하는 것으로 정의한다 .이 정의를 토대로 완곡 표현은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방식으로 사용되는 것이라고도 할 수 있다.

2.2 완곡 표현의 유형

완곡 표현은 어휘범주와 문장범주로 나눌수도 있고 어휘차원 , 문장차원 ,담화차원으로분류할 수도 있다 .어휘범주의 완곡어들은 원래의 낱말이 갖는 좋지 않은 뜻을 감추고,대신 좋은 어감을 지닌 다른 낱말로 대치하는것이다.

김미형 (2000)은 문장범주의 완곡 표현은화용론적인 것으로서 한정된 목록으로는 제시할 수 없으며 다만 완곡하게 표현하려는 의도가 있고 이를 위해 사용하는 여러 방식들이있다는 예시를 할 수 있다고 했다.

일상생활에서 어휘범주의 완곡어보다 문장범주로 ,바꾸어 말하면 담화 차원의 완곡 표현이 더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연구는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의 완곡 표현의 사용 실태를 살피는 것을 목적으로 문장차원,담화차원에서 나타나는 완곡 표현들만 살피고자 한다.

이상을 토대로 완곡 표현의 유형을 분류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다른 사람에게 부탁하는 상황

둘째 ,상대방에게 어떤 행위를 하도록 말을강하게 내뱉는 상황

셋째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같이 하자고제안하는 상황

넷째 ,다른 사람의 부탁이나 초대를 받지않는 상황

완곡 표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격식적인형태가 없고 문장의 형식이 바뀌는 방식을 통해서 실현되는 데 주로 요청 , 청유 , 거절 ,명령 등 표현으로 실현된다.

2.3 완곡 표현의 목록

리우시아오쉬엔( 2012) 은 『연세한국어』, 『한국어』,『표준한국어』에서 나타난 완곡 표현의구체적인 형태와 빈도수를 조사했다.(1)

<표 1>완곡 표현의 구체적인 형태 및 빈도수

위의 표에서 볼 수 있듯이 세 교재에서 요청에 관한 완곡 표현이 가장 많이 나타났고순차적으로 청유 , 거절 ,그리고 명령에 관한완곡 표현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위에서 제시된 완곡 표현 목록을바탕으로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가 완곡 표현사용에서 어떤 양상을 보이는지 실험을 통해살펴보기로 한다 .이에 앞서 먼저 실험에 쓰이게될완곡표현의실현전략및문형을제시한다.

< 표 2>완곡 표현의 전략 및 문형

3.완곡 표현 사용 양상

중국인 중·고급 화자들이 교재에서 배운 한국어 완곡 표현을 어느 정도 숙지하고 있고,또 실생활에서 어떻게 사용되는가를 알아보기위해 <표 2>에서 제시한 완곡 표현 문형을이용해 요청 , 청유 , 거절 ,명령 등 네 가지 표현 중 본인이 실생활에서 가장 많이 사용하는완곡 표현 형태를 골라 한 사람이 하나의 자유로운 대화문을 작성하게 하였다.

실험에 참여한 중국인 중·고급 화자는 총56명 이다. 이 중 남성 화자가 26명이고 여성화자는 30명 이다 .실험에 참여한 화자들이 작성한 대화문은 의문문 , 서술문 ,청유문이 주를 이루었다.

3.1 요청 관련 완곡 표현 사용 양상

요청과 관련된 완곡 표현 사용에서 여성 화자들은 비교적 부드러운 어투인 ‘-(으)ㄹ래 (요 )?’를 많이 사용했고 반면에 남성 화자들은 ‘-(으 ) ㄹ 수 있다/없다’를 가장 많이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가 :오후에 저랑 도서관에 같이 갈래요?( 여성)

나: 도서관이 어디 있는지 가르쳐 줄 수 있습니까?(남성)

(1 가) 와 (1 나)는 모두 상대방의 의향을 묻는 의문문이다 .이는 상대방으로 하여금 화자의 제안에 대해 수락할 것인지 안 할 것인지를 선택할 수 있는 여지를 주어 완곡하게 표현하였다.

여성 화자들은 요청 관련 완곡 표현에서‘-(으 ) ㄹ래(요 )?’로 대화 상대방의 부담을 줄여 주고 상대방의 허락을 얻는 형식을 취했다 .‘해 요체’를 사용하여 여성 화자의 부드러움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남성 화자의 경우 ‘-(으 )ㄹ 수 있다/없 다’ 의 문문 형태로 상대방에게 행동 수행여부의 가능성이나 능력을 완곡하게 묻는 형식을 취했다 .종결 형식이 ‘-(으 )ㄹ 수 있어요 ?/없 어요 ?’가 아닌 ‘-(으 ) ㄹ 수 있습니까?/없습니까 ?’를 취했다는 점에 주목해야 한다.

이번 실험을 통해 대부분의 여성 화자들은부드러운 표현인 ‘해 요체’를 선호하는 반면에남성 화자들은 ‘-ㅂ니 다’와 같은 조금 경직되고 공손한 표현을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단순하게는 발화 차이라고 간주할 수있는 부분이지만 사회언어학적으로 보았을 때남성이 여성보다 더욱 경직된 어투를,여성은남성보다 더욱 부드러운 어투를 사용한다는것을 유추할 수 있었다.

다음 여성과 남성 화자가 모두 공동으로 많이 사용한 요청 관련 완곡 표현은 바로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아 /어 주다’이 다.

(2)가 :내일 아침에 저를 깨워주시겠어요?( 여성)

나 :방학이 언제부터 언제인지 알려주시겠어요?(남성)

(2 가) 와 (2 나) 는 모두 ‘- 아/어 주다’라는표현으로 서술문이 아닌 의문문의 형식으로사용하여 완곡하게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것이다 . 만약 ‘깨 워주시겠어요 ?’대 신에 ‘깨워주세요 .’, ‘알 려주시겠어요 ?’대 신에 ‘알 려주세요’를 사용한다면 이는 자칫 요청이 아닌 명령어투로 상대방에게 전달될 수 있기에 청자와화자 사이에 어색한 분위기를 만들 수 있다.때문에 여성 화자와 남성 화자는 모두 서술문대신 의문문을 선택해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완곡한 표현을 사용하였다.

이 밖에 여성 화자와 남성 화자가 모두 희망을 드러내는 표현인 ‘-(으 )면 좋겠다’라는표현을 사용해서 대화문을 만들었지만 수적으로는 많지 않았다.

(3)가 :내일은 내 생일인데 영희가 꼭 왔으

면 좋겠어요.(여성)

나 : 어머니 ,방학에 가까운 곳에 가서 여행했으면 좋겠어요.(남성)

‘-( 으) 면 좋겠다’라는 표현은 자신의 희망사항을 상대방에게 전달하는 방식으로 상대방에게 자신의 희망을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보다 에둘러서 완곡하게 표현하여 듣는 사람의 부담감을 덜어주는 형식이다 .‘여행했으면좋겠어요’라는 표현 대신에 ‘여행하고 싶어요’라는 표현을 사용하면 화자의 의지가 너무 강조되어 청자에게 오히려 부담감을 줄 수 있기때문에 의지보다는 희망을 나타내는 ‘-(으)면 좋겠다’는 표현이 더욱 잘 어울리는 완곡표현이라고 판단했을 것이다.

3.2 청유 관련 완곡 표현 사용 양상

청유 관련 완곡 표현에서 여성 화자와 남성화자는 모두 ‘-(으 ) ㄹ 래(요 ) ’, ‘-(으 ) ㄹ 까(요 )’라는 두 표현 형식을 자유롭게 사용했다.실험을 통해 알 수 있듯이 청유에 있어서 여성화자이든 남성 화자이든 ‘-(으 )ㄹ 래(요)’, ‘-( 으) ㄹ까 ( 요 )’에 대한 선호도가 막상막하였다.

(4)가 :주말에 저와 함께 영화 보러 갈래요?( 여성)

나 :점심에 물만두 먹을래요 ?( 여성)

다 :휴대폰 충전기 좀 빌려 주실래요?( 남성)

라: 이 빈자리에 제가 앉아도 될까요? (여 성)

마:나랑 같이 스터디 할까요?(남성)

바: 같은 방향인데 같이 갈까요? (남 성)

(4 가~ 4바 )는 모두 의문문으로 조건적인 선호를 나타내거나 희망을 드러내고 있다.특히주목해야 할 점은 (4다 ) 의 부사 ‘좀’은 공손한 뜻으로 상대방의 부담감을 덜어준다는 의미를 부여한다 . 그러나 ‘좀’이 단독적으로 사용될 때는 단순히 사전적 의미인 ‘조 금’이라는뜻을 내포할 뿐 완곡적인 의도를 나타낼 수없다. 즉 ‘좀 ’은 ‘-(으 ) ㄹ래(요 )’, ‘-(으 )ㄹ까( 요) ’와 결합하여 사용될 때 비로소 공손의뜻과 완곡의 뜻을 표시할 수 있다.

‘어 때(요 )?’는 열린 의문형으로 질문에 상대방의 대답을 꼭 필요로 하는 완곡 표현으로강제성을 회피하고 상대방의 부담을 덜어주는장점이 있다. 그러나 실험에서 쓰이기는 했지만 그 수가 ‘-(으 ) ㄹ래(요 ) ’, ‘-(으 ) ㄹ까(요 )’에 비해 압도적으로 적었다.

(5)가: 오늘 저녁 같이 먹는 게 어때? (남 성)나 :우리 주말에 같이 영화 보러 가는 게어때?(남성)

(5 가) 와 (5 나) 는 화자가 청자에게 ‘같이 어떤 행동을 하자’라는 의미를 전달하는 화행인데 행동을 요구할 때 상대방의 의향을 물음으로 강요하지 않고 부담을 줄이는 기능을 할수 있다.

실험에서 ‘어 때 (요 )?’라 는 청유 표현의 출현빈도가 적은 것은 ‘-(으 ) ㄹ 래(요 )’,‘-(으)ㄹ까(요 )’에 비해 문법 구조상 복잡성을 띠고있기 때문이라고 본다.(3)

3.3 거절 관련 완곡 표현 사용 양상

이번 실험에서 거절 관련 완곡 표현의 실현형식에 있어서 화자들은 ‘-(으 ) ㄹ까(요 )’라는표현은 거의 사용하지 않았고 ‘-(으 )ㄴ/ㄹ 것같다’라는 표현을 많이 사용하였다.

(6)가 :오늘 제가 아파서 수업에 못 갈 것같아요.(여성)

나 :내일은 시간이 없어서 안 될 것 같습니다.(남성)

‘-( 으) ㄴ /ㄹ 것 같다’는 서술형 표현의 대표적인 형식이다 .단정적인 확언은 상대방에게 부담이나 거부감을 줄 수가 있다.‘-(으)ㄴ/ㄹ 것 같다’는 상대의 부담이나 거부감을최대한 줄이기 위해 발화를 모호하고 암시적으로 나타내는 완곡 표현이다.

(6가 )와 (6나 ) 에서 볼 수 있듯이 ‘못 갈 것같아요 ’,‘안 될 것 같습니다 ’ 형식으로 자신의 뜻을 모호하게 전달해 완곡하게 표현하고있다 . 만약 ‘-(으 )ㄴ/ㄹ 것 같다 ’대 신 ‘-ㅂ니다’로 단호하게 상대방을 거절하면 대화 현장의 분위기를 어색하게 만들 수 있을 뿐만아니라 또 상대방에게 안 좋은 느낌을 심어줄 수 있다.

거절 관련 완곡 표현에서 ‘-(으 ) ㄹ까(요 )’를 사용하지 않은 것은 아마도 청유 관련 완곡 표현에서의 ‘-(으 ) ㄹ까( 요 )’ 표현 때문에거절과 청유 두 표현에서의 충돌을 피하려는의도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3.4 명령 관련 완곡 표현 사용 양상

이번 실험에서 아주 특이한 현상은 바로 명령과 관련된 완곡 표현 대화문이 출현하지 않았다는 점이다 .이는 실생활에서 화자들이 명령과 관련된 완곡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는반증일 수도 있다.

3.5 완곡 표현 사용 양상 정리

이상 56명 의 중국인 한국어 중·고급 화자들을 연구대상으로 요청 , 청유 , 거절 ,명령 네가지 완곡 표현 양상들을 살펴보았다.실험에나타난 양상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요청화행에서 여성 화자가 가장 많이 사용하는 표현은 ‘-(으 )ㄹ래 요’이고 남성 화자는‘-(으) ㄹ 수 있다 /없다’로 주로 ‘상대방에게가능성이 있는지를 묻기 ’,‘상대방의 허락을구하기’와 대응하는 하위전략에서 자주 나타났다. 이 밖에 상대방의 의견을 묻는 ‘-아 /어 주다’와 희망을 나타내는 ‘-(으 )면 좋겠다’가 순차적으로 사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청유의 경우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를 막론하고 ‘-(으 ) ㄹ래요’와 ‘-(으 ) ㄹ까요’의 사용빈도가 거의 비슷한데 ‘조건적인 선호’와 ‘상대방의 의견을 묻기’라는 하위 전략과 대응된다.

거절 관련 표현에서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표현은 바로 ‘-(으 )ㄴ /ㄹ 것 같다’로 이와 대응하는 전략은 ‘암 시하기’이 다.

명령 관련 완곡 표현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4.결론

지금까지 요청 관련 완곡 표현 5개 ,청유관련 완곡 표현 3개 , 거절 관련 완곡 표현2개 ,명령 관련 완곡 표현 1개를 화자들에게제시해주고 이것을 바탕으로 의사소통을 위한문형 형식에서 남성과 여성 두 집단의 완곡표현 사용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이번 실험을 통해 얻은 결론은 아래와 같다.

첫째 ,완곡 표현이란 것은 관용 표현의 하나로 보아야 하기 때문에 일상생활에서 잘 쓰이고 있는 것이지만 ,문장이나 인터뷰와 같은경우에는 잘 쓰이지 않는 것이라고 본다.

둘째 ,완곡 표현의 가장 뚜렷한 특징은 격식적인 형태가 없고 문장의 형식이 바뀌는 방식을 통해서 실현된다는 것이다.

셋째 ,완곡 표현이 실현되기 위하여 가장많이 사용하는 수단은 의문형 표현이라고 할수 있다 .상대방의 의향을 묻거나 허락을 구하는 것은 청자의 부담을 줄일 수 있으므로완곡의 목적에 달성할 수 있다.

넷째, 완곡 표현에서 남성과 여성 화자는 모두 요청과 청유에 관한 완곡 표현을 가장 많이 사용했고 ,그중에서도 요청 관련 완곡 표현은 그 형식상 다양성을 보였다 .또한 명령관련 완곡 표현은 남성 화자와 여성 화자 사이에서 모두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실험에 참여한 화자 수가 많지 않고 또시간적인 여유가 많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점을 갖고 있다 .그러나 이번 실험을 통해 앞으로의 완곡 표현 관련 교수에서의 시사점을제시했다는 점에서는 의의가 있다고 본다.예를 들면 남성과 여성 두 집단 모두 명령 관련완곡 표현을 사용하지 않고 있는데 ,이는 교육 현장에서의 교수 방식을 더욱 보완할 필요성을 제기하게 된다.

주석

(1)리우시아오쉬엔( 2012)은 한국의 연세대학교,서울대학교 ,중국의 북경대학교에서 출판한한국어 교재들을 분석하고 그중에서 완곡표현 관련 목록을 추출했다.

(2)리우시아오쉬엔 (2012)은 전략이란 개념을이용해서 완곡 표현의 실현 형식을 분류하고 교재 분석의 기준으로 정했다. 전략은어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취하는 수단이다. 각 형식을 정리하면 ,주로 의문 표현,희망 표현, 청유 표현과 추측 표현이 있다.

(3) ‘-어 때(요 )’는 ‘-는 게(것 이)’라는 표현과어울려서 쓰이기 때문에 외국인 화자들은원어민 화자들처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을 것이다 .‘냉 면 , 어때’와 같이 명사 뒤에직접 결합하는 경우도 있지만 이 또한 외국인 화자들에게 주어진 시간에 그 사용법을떠올리게 한다는 것은 무리라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1]곽단양,「중국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완곡 표현 교육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6.

[2]김미형,「국어 완곡 표현의 유형과 언어 심리 연구」,『한말연구』 7, 한말연구학회,2000.

[3]리우시아오쉬엔,「한국어 완곡 표현 교육방안 연구 :완곡 표현의 화행유형을 중심으로」,청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12.

[4]문금현,『국어의 관용 표현 연구』,태학사,1999.

[5]성미선,「한국어 추측 표현의 완곡어법 양상과 교육방안」,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9.

[6]윤은미,「한국인과 한국어 학습자의 거절화행에 나타난 공손전략 비교연구 :체면 보호를 위한 언어적 장치를 중심으로」,『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9,연세대학교 한국어학당,2004.

[7]조미경,「공손전략으로서의 한국어 완곡 표현 연구」,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2005.

猜你喜欢

聊城大学
“留白”是个大学问
山东聊城东昌府区26.67公顷油葵盛开“致富花”
《大学》征稿简则
《大学》
48岁的她,跨越千里再读大学
聊城高新区多措并举保障贫困户“居住无忧”
大学求学的遗憾
The impact of the development of Guzheng on people
聊城,宛在水中央
聊城 因水而生 有水则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