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화담이야기 중국 원류 고찰*
2017-10-20宋姣西安外国语大学
| 宋姣| 西安外国语大学|
1.서론
중국의 여우문화는 중국문화의 독창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다.(1)중·한은 이웃 나라이고한국문화는 옛날부터 중국문화의 영향을 많이받아왔다 .한국의 여우이야기에서도 여우가나쁜 짓을 하여 인간들의 미움을 받는 이야기를 흔히 찾아볼 수 있다 .미인으로 변신해 사람을 유혹하는 여우가 있는가 하면 해박한 지식 ,신통한 능력을 지닌 여우도 있으며 인간세상에 침입해 온갖 못된 짓만 일삼는 여우도있다 .반면 인간을 도와주는 품성이 착한 여우와 행실이 바르고 용모가 아름다워 인간과결혼하여 같이 사는 여우도 있다 .필자는 신라 최지원의 시 「古意」에서 “狐 能化美女, 狸亦作书生”(2)라는 구절이 분명히 『玄中记』에나온 “百岁为美女 为神巫 能知千里外事”와 흡사하다는 주장이다.
한국 구비문학에서의 여우는 모습이 다양하고 능력이 뛰어나다 .그동안 여우 이야기에대한 연구는 주로 여우의 성질 및 변신에 따른 분류(3),여우의 이중성(4),여우의 관련성(5),다른 나라의 여우 이야기와 비교해 나라 간의차이를 밝힌 연구(6)가 위주이다 .중국의 학계에서 중국 여우문화가 한국을 비롯한 주변 나라까지 전해갔다는 견해(7)는 제출되었지만 구체적인 실증을 제공하지 못한 점이 아쉽다.
본고는 중국의 장화(张华)이야기와 한국 화담(花谭)이야기의 비교를 통해 한국의 여우이야기가 중국 여우이야기의 영향을 받았음을증명하고 중국 여우문화가 한국으로 전해진사실을 예증하는 데 목적을 둔다.
2. 중국의 장화(张华)이야기
중국의 장화이야기는 『수신기(搜神记)』 권18을 비롯해서 몇 가지 판본이(8)있는데 줄거리는 대동소이하다 .재능이 뛰어난 여우 한마리가 사람으로 변신해 사회적 지위가 높은주인공 장화 앞에 나타나 재능을 자랑하다가장화에게 의심을 받아 결국 처참하게 죽음을당한다 .세 판본의 이야기는 줄거리가 비슷할뿐만 아니라 인물구성이나 요물을 원래 모습으로 소환시키는 도구가 일치하다.
판본 간에는 두 가지 차이점이 있다.
첫째 ,나쁜 짓을 하는 요물의 정체가 다르다.『수』에서 서생으로 변신해 주인공 장화앞에 나타난 요물은 얼룩여우지만 『집』과『속』은 다 얼룩살쾡이로 설정되었다.
둘째 ,요물을 제압하는 방법을 생각해 낸사람이 다르다.『수』에서 서생의 정체를 의심하기 시작하고 제압한 사람은 장화이지만『집』과 『속』에서 묘책을 짜낸 사람은 장화의친구 뇌환이다.
『수』,『집』과 『속』 세 판본을 비교해보면차이점보다 비슷한 점이 더 많다는 것을 알수 있다.『집』과 『속』에 실려 있는 장화이야기는 모두 『수』에서 나온 것이고 다만 조금개작한 부분이 있다.『수』에서는 여우의 정체를 알아내는 장면이 복잡하게 짜여져 있지만『집』의 작자 곽계산 (郭季産)은 이 부분을 삭제한 것이 아니라 개작을 통해 이야기의 줄거리에 변화를 주었다 .즉 요물을 제압시킨 방법은 장화가 생각해 냈지만 뇌환에게 이 역할을 분배해 준 것이다 .이것을 통해 뇌환의 힘을 부각시키고 주인공 장화의 능력을 약화시킨 셈이다.
3. 한국의 화담( 花谭)이야기
필자는 한국의 여우에 관한 자료를 정리하는 과정에서 비슷한 이야기 구성을 가지고 있는 한국의 화담이야기를 발견했다 .한국 화담이야기는 두 가지 판본으로 정리되었다.한국의 화담이야기는 중국 화담이야기의 영향을 받았음이 분명한 사실인데 양국 판본 간 교차하는 양상을 보인다는 점을 무시하면 안 된다.
화담이야기는 두 판본 중 한편은 야담집에실려 있고 한편은 『한국구비문학대계』(9)에 수록된 구비설화 254편 여우 이야기에서 정리된 것이다 .문헌 이야기는 노명흠의 『동패락송』 제104화 “花潭杀太白山老狐母子”(10)이고구비설화는 “천년 묵은 너구리와 감찰 선생”(11)이다.
4. 중·한 이야기의 비교
우선 ‘장화’이 야기와 ‘화담’설화의 공통점은첫째 ,이야기의 흐름이 비슷하다는 점이다 .이야기 서사구조를 보면 여우가 사람으로 둔갑해 살다가 결국 들통 나 죽음을 면치 못한다.
둘째 ,남자주인공이 모두 학식이 있고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다. ‘장 화’이야기의 남자주인공은 장화는 진(晋)나라 혜제(惠帝)때사공(司空)으로 있었던 실제 역사인물이다.여우가 장화를 만나고 싶다고 할 때 화표가“장사공은 워낙 박식하고 지혜로운지라 그를농락하기가 어려울 것이다.(但张公智度,恐难笼络 )”라는 말을 통해 장화가 지혜로운 사람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화 담 ’설화에서도 마찬가지로 화담도 지위가 높고 지혜로운사람이다 .여우는 본시 인간과 다른 미천한동물로서 일반인들이 선망하는 지위가 높고똑똑한 사람 앞에 나타나 자신의 허영심을 채우려고 했다.
셋째 ,두 이야기에 나타난 여우는 신통력과재능이 뛰어나다.『수』에서는 요괴가 장화 앞에 나타나 재능을 자랑하는 부분을 무려 77자로 묘사하고 있다 .한국 문헌 화담이야기에서 화담의 거둠을 받아 학문을 시작했는데“( 그 동자는)재 주와 학식이 뛰어나서 ,몇 달가르치자 모르는 것이 없었다.(童子才识出 伦讲学数月 无所不通 )”라는 말에서 역시 여우의훌륭한 재능을 알 수 있다 .구비설화의 너구리도 똑똑한 머리로 정성에게 많은 칭찬을 받는다.
넷째 ,두 이야기에 나온 여우가 모두 거만하고 자신을 과대평가 한다 .화담 이야기에나온 여우는 서화담 선생이 “운명을 약간 내다볼 줄 안다고 합니다 .내가 속일 수 있을것입니다.(粗解象数云吾可以瞒之矣 )”라 는 구절에서 자신을 과대평가함을 알 수 있다.장화이야기에 나온 여우는 화표 앞에서 “나정도재주와 용모면 장사공( 张司空: 张华)을 찾아뵐 수 있겠습니까?(以我才貌 ,可得见张司空否 )”라는 말에서 자신의 능력과 외모에 지나친 자신감을 보인다 .여우의 거만과 자신에대한 과대평가야말로 나중에 죽임을 당하는화근이 된다.
다섯째 ,두 이야기는 모두 죽은 자의 신주를 모셔 놓은 자리에 있던 나무나 나무로 만든 물건에 불을 붙여 요괴에게 비추는 방법으로 여우의 정체를 까밝힌다.
동자에게 그 나뭇가지를 쪼개 홰를 만들도록하고 ,불을 밝혀 그를 비추어 보니 한 마리의 늙은 여우였다.(剖破为炬 明火烛之 乃一老狐也——화담이야기)
불을 붙여 서생을 비춰보았더니 그는 다름 아닌 얼룩무늬 너구리였다.(燃之以照书生 乃是一斑狸 ——장화이야기)
여섯째 ,두 이야기에서 주인공에게 의심을받아 갇힌 여우는 순순히 잘못을 인정하는 것이 아니라 뛰어난 변론으로 자신의 잘못을 부인하는 점은 두 이야기에서 비슷하다.『수』에서 자신을 변명하는 장면이 두 부분인데 하나는 27자 , 하나는 40자로 뛰어난 재능을 다시확인한다 .한국 문헌 장화이야기에 여우가얼굴색도 변하지 않으며 그동안 화담과 쌓인감정을 부자 지간의 감정 ,사제 지간의 감정보다 더 소중하다며 말을 예쁘게 꾸미면서 화담을 감동시키려 한다.
중·한 이야기는 많은 공통점이 있는 반면차이점도 존재한다.
<표 1> 중·한 이야기 세부 비교
표를 통해서 알 수 있다시피 줄거리가 거의비슷하고 구체적인 세부사항에 차이가 존재한다 .요괴의 정체를 밝히는 계책을 짜낸 사람이 중국의 『수』와 문헌 화담이야기는 일치하고 『집』과 『속』은 한국의 구비 화담이야기와같다.
『수』에서 나쁜 짓을 하는 요괴가 여우이고요괴의 정체를 드러내게 하는 계책을 생각해낸 사람이 장화이지만『집』에서는 이 이야기를 적록하는 과정에서 ‘얼룩무늬 여우’를 ‘얼룩무늬 너구리’로 바꾸었을 뿐만 아니라 장화의 말도 친구 뇌환으로 되었다 .한국의 화담이야기를 같이 분석하면 무의식적인 삭제의의의가 커진다 .구비 화담이야기의 요괴도 너구리이고 요괴를 제압시키는 방법을 생각해낸사람은 주인공이 아닌 제 3자 ―감찰선생을 설정했다 .한국의 문헌 화담이야기와 구비설화판본은 줄거리가 비슷하지만 원류가 다를 수있다는 생각이 든다 . 즉 , 문헌 판본은 『수』의영향을 받고 구비설화는 『집』 혹은 『속』의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크다.
4.중국 장화이야기가 한국으로전해진 증거
구비설화는 민간에서 전송된 이야기라서 창작 연대를 검증할 수 없다.『수』는 한국에서두 가지 판본이 있다.『신각출상증보수신기(新刻出像增补搜神记)』와 『중증삼교원제불수신대전(重增叁敎源帝佛搜神大全)』(12)은 간보(干宝)의 『수』가 아니다.간보의 『수』는 일찍 한국으로 유입되었는데 문자기록에 의해 추측하면 1901년 이전이다.(13)
『집』이 한국으로 전해진 문자 기록은 아직찾지 못했다 .그런데 『집』의 장화이야기가『태평광기』에 수록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하면『집』의 영향도 배제할 수 없다 .왜냐하면 『태평광기』가 한국의 고전문학에 영향을 끼친 것은 주지의 사실이기 때문이다.
『속』이 한국으로 전해진 구체적 시간은 알수 없지만 『오주연문장전산고(五洲衍文长笺散稿)권7』에 의해 1800년 이전에 이미 한국에들어간 것을 추측할 수 있다(14)에 수록되어있는 유명한 설화 ‘죽 통미녀’는 대나무 통 속에 미인 두 명이 나타난 것이 바로 『속』의‘양 선서생(阳羡书生 )’의 영향을 받았다는 연구(15)가 있다.『속』은 이른 시기에 이미 한국에 전해졌음을 알 수 있다.
5.결론
장화이야기는 중국에서 여러 판본이 있는데본 논문은 비교적 상세하게 기록된 『수』,『집』그리고 『속』을 선정하여 차이를 분석하였다.『태평광기』의 소재 『집』은 『수』를 인용했으되 부분적으로 삭제하였다.『속』은 『집』을 텍스트로 삭제 ,개작한 것이다 .단순한 개작을한국의 판본과 비교하여 살펴보면 의미가 확대된다.
한국의 화담이야기는 문헌이야기와 구비이야기 두 편이 정리되었는데 인물구성,이야기줄거리 ,결말이 중국의 장화이야기와 아주 비슷하다 .세부적인 것을 비교하면 양국 판본간 교차하면서 비슷하다.
한국의 화담이야기는 중국 장화이야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교차의 양상이 보인다.같은유형의 이야기는 전파의 길이가 달라 차이가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집』과 『속』의 장화이야기는 최초 판본이 아니고 『수』를 개작한것이지만 한국으로 유입돼 의외의 시너지를발휘하였다 .본래 간단한 개작도 비교문학의시각 아래 의미가 확대됨을 알 수 있다.
주석
* 本论文为西安外国语大学东北亚研究中心研究部分阶段成果 。本研究受西安外国语大学科研基金资助, 项目号码为16XWC09。
(1)李建国,『中国狐文化』 ,北 京 :人民文学出版社,1 999: 1.
(2)최준옥,『국역 고운선생문집 권1』, 서울 :학예사,1973.
(3)강진옥 외에도 송정혜는 여우 변신 설화를강진옥보다 더 세분화시켜 민속학적 관점,고고학적 관점, 역사론적 관점 등 다양한 시각에서 그 의미를 다루었다. 이윤경은 여우가 악의 상징과 지혜의 상징이라는 이중성에착안하여 여우의 변신을 마법적 주술이 아닌불교와 연계시켜 연구하였다. 이 연구는 그동안 논의되어 왔던 설화 속 변신에 관한 사유를 토테미즘 혹은 샤머니즘의 범주에서 벗어나 불교와 연관시킨 성과가 눈에 띈다.
(4)이윤경,「여우의 이중성과 불교적 변신의의미―〈삼국유사〉설화를 중심으로」,『돈암어문학』, 통권 제1 2호 ,1999:257~268.
(5)김지선 (2001)은 신성했던 중국 여우 도산씨가 예교(礼教) 라는 틀에 은폐되었고 나중에 사악한 귀신으로 변질되었다고 제기했다.이경미 (2011)는 여우의 변신은 시대에 따라 남성, 중성으로부터 시작하여 여성으로변화되었다고 지적했다.
(6)이안나 (2010)는 한국과 몽골설화에 나온여우의 유사성과 차이성에 대해 비교연구를했다. 김지선 (2005)은 한·중·일 설화에 나타난 악의 상징, 박식함의 대명사, 보은과희생정신의 원형을 살펴보았다 .주로 세 나라의 같은 점만 논술하고 다른 점은 지적하지 못하고 각 나라에 대한 특성이 언급되지않아 아쉬움이 있다.
(7)李建国,『中国狐文化』 ,北 京 :人民文学出版社, 1999: 20.
(8)이런 유형의 이야기는 또 있는데 필자가 대표적인 세 가지 판본을 정리했다. 하나는『수신기(搜神记 )』 권 18에 실려 있고 ,하나는 『집이기(集异记)』소재 이야기인데 다시『태평광기(太平广记 ) 』권 442 축소(畜兽)9에 실렸다. 또 하나는 『속제해기(续齐谐记)』소재이다. 이하 서술 편의상 각각 『수』, 『집』,『태』,『속』으로 표기한다.
(9)본고에서는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간행한전국구비문학자료 『韩国口碑文学大系』를 텍스트로 하였다.이하 『대계』로 약칭한다.
(10)노명흠 저, 김동욱 역,『동패락송』,성남:아세아문화사 1996:457~460.
(11)이 이야기는 경남 거창군에서 전해졌는데문헌이야기와 비슷한 구비설화라서 창작자와 연대를 확인할 수 없다 .줄거리는 다음과 같다. 천년 묵은 너구리 한 마리가 사람으로 둔갑하여 정승의 사위가 되었다.하지만 정승의 친구인 감찰 선생이 사람을시켜서 마을을 지키는 장승의 얼굴을 씻긴물을 정승의 사위에게 마시라고 명했다.사위가 물을 마신 후 너구리로 변했다.
(12)闵宽东, 『中国古典小说流传韩国之研究』,中国文化大学博士论文,1994:21.
(13) 《 高丽史 》( 世家第十宣宗八年 )“帝闻我国书籍多好本… … 于宝搜神记三十卷。”
(14)장연호,「태평광기의 한국전래와 영향」,『한국문학논총』제39집,2005:168.
(15)한국 민족 문화 대백과 ,죽통미녀이야기.
참고문헌
[1]노명흠 저 ,김동욱 역,『동패락송』,성남:아세아문화사,1996.
[2]장연호,「태평광기의 한국 전래와 영향」,『한국문학논총』제39집,2005.
[3]최준옥,『국역 고운선생문집 권1』, 서울 :학예사,1973.
[4]한국정신문화연구원,『한국구비문학대계』 8-6경상남도 거창군,1979~1985.
[5]유희준,「韩国所藏的中国文言小说版本研究」,『中国文化研究 21』,2012.
[6]李建国,『中国狐文化』,北京 :人民文学出版社,1999.
[7] 汪绍楹校注, 『搜神记』,上海: 中 华书局,1979.
[8] 顾元庆辑刻, 『顾氏文房小说』,上海:涵芬楼影印,1925.
[9]李剑国,『唐五代志怪传奇叙录』,天津:南开大学出版社,1993.
[10]闵宽东,「中国古典小说流传韩国之研究」,中国文化大学博士论文,19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