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향촌국시(鄉村國是)>신시대, 중국 빈곤퇴치 사업의 현황
2018-06-25張勁文
글|장진원(張勁文)
가난은 예로부터 인류의 발전과 진보를가로막는 장애물이었다. 오늘날 세계에서 가장 발전한 나라들이 모여 있는 구미지역마저도 여전히 방대한 빈곤인구를 안고있다.
그렇다면 세계 최대 개발도상국인 중국에서는 빈곤퇴치 사업이 어떻게 이뤄졌을까? <향촌국시>는 상세하고 생동감 넘치는실제 자료를 통해 사람들의 궁금증에 답하고 있다.
<향촌국시>는 중국 농촌의 빈곤퇴치실황을 그리고 있다. 신장(新疆), 시짱(西藏·티베트), 닝샤(寧夏), 간쑤(甘肅), 윈난(雲南) 등 14개 성(省)·자치구·직할시를직접 누비며 202개 농촌마을 땅에 발자취를남긴 저자는 그간 자신이 보고 들은 것들을‘인본주의’ 서사구조를 바탕으로 생생하게서술했다.
1995년 작은 사업을 통해 백만장자가된 광시(廣西) 사나이 우톈라이(吳天來)는큰 성공에도 불구하고 극도의 빈곤에 시달리는 자신의 고향 룽야(隴雅)마을로 돌아와 중국공산당 지부위원회 서기직을 맡았다. 그는 마을사람들을 이끌고 스스로 자금을 출연해 가며 150km에 가까운 산간도로를 닦고각종 농업 특산품 재배에 힘썼다. 그 결과,200위안에 불과했던 마을의 1인당 주민소득은 2015년 1만 위안을 훌쩍 넘어섰다.
구이저우(貴州)성 우멍(烏蒙)산악지구의 이족(彜族) 사나이 원차오룽(文朝榮) 역시 1982년부터 하이췌(海雀)마을 중국공산당지부위원회의 서기로서 마을 사람들을 이끌고 퇴경환림(退耕還林·경작을 중단하고 삼림을 조성함) 중심의 빈곤퇴치 정책을 뚝심있게 추진하고 있다. 그는 30년 넘게 나무를심고 숲을 조성해 5% 미만이었던 마을의산림녹화율을 81.2%까지 끌어올렸다.
시짱 남부 룽쯔(隆子)현 신바(新巴)향의 여성 향장 랑쭝(郎宗)은 한 뼘의 땅에 한그루의 사극(沙棘·Hippophae)나무를 심는 것부터 했다. 풀 한 포기 나지 않던 룽쯔현 허구(河谷) 일대는 지금 사극나무숲으로변했다.
이처럼 저자는 각지에서 빈곤퇴치 사업을 전개하는 공산당원과 일선 작업자들의 사례를 통해 빈곤퇴치의 험난한 과정을 생생히묘사했다. 동시에 중국 공산당원과 일반 주민들이 한마음으로 힘을 합치며 발휘하는 백절불굴의 정신과 의지를 부각시켰다.
특히 이 책은 빈곤퇴치를 향한 노력을단순화하거나 표면적으로만 기술하지 않고그 안에 숨은 깊은 이치나 사상을 발굴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더욱 주목할 만하다. 저자는 후난(湖南)성 샹시(湘西) 투자(土家)족·먀오(苗)족자치주의 원로 민족학자이자먀오족교육가인 스치구이(石啟貴) 선생 주도로 1925년 발족한 ‘샹시 먀오족민 문화경제개량위원회’가 고향마을의 경제문화 발전에 앞장선 사례를 통해 ‘문화적 지식’과 ‘빈곤 탈출’의 내재적인 연관성을 집중 조명했다. 저자 역시 “가장 먼저 언급되어야 할 부분은 끝까지 포기하지 않는 빈곤 산악지구주민들의 백절불굴의 의지와 정신”이라고할 정도다.
또한 저자는 중국 시골마을에 오랫동안 존재해 온 무사안일주의와 게으름 현상을 서슴없이 파헤치고, 늘 외부에 의존하려드는 사람들의 소극적 태도를 신랄하게 비판한다. 동시에 “가난은 물질생활뿐 아니라정신생활과도 관계된 현상”이라는 날카로운지적을 덧붙인다.
중국이 추진하는 빈곤퇴치 사업은 중국은 물론 개발도상국을 포함한 전세계의 빈곤인구감소 사업에도 좋은 모범사례가 된다.
책에는 이런 에피소드도 실려 있다.“2003년 중국 국무원 빈곤퇴치 담당부처가27개국 빈곤퇴치 담당공무원으로 구성된 룽야마을 방문조사단 활동을 기획한 적이 있다. 당시 아프리카에서 온 한 공무원이 룽야마을의 우톈라이 서기에게 빈곤퇴치의 비결을 묻자, 우 서기는 ‘생존을 위해 결코 포기하지 않는 것’이라 답했다. 우 서기의 대답에 조사단은 너도나도 찬탄을 금치 못했다.”
어쩌면 <향촌국시>에서 말하는‘백절불굴의 정신’은 지금의 중국이 전세계에 기여하고 있는 몫의 일부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것이다.